반응형

2023/12/01 2

Ch 3. JS 함수-04.호이스팅

#호이스팅(hoisiting) 함수 선언부가 유효범위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지는 현상 함수 선언부가 유효범위라는 거 우리가 예전에 배웠죠? 영어로는 스콥이라고 하고요. 그래서 그 유효범위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지는 현상을 얘기한데요. 이것이 무엇인지 아래쪽에 코드를 통해서 살펴볼건데요. #실습준비 const a = 7 const double = function () { console.log( a * 2 ) } double() double이라는 변수에 익명함수가 할당되었습니다. 함수표현이 완성되었습니다. 그리고 double이라는 함수가 호출되고 있습니다. 14가 출력되었습니다. #호이스팅 개념 const a = 7 double() const double = function () { console.log( a * ..

Ch 3. JS 함수-03.IIFE(즉시실행함수)

[목차] #IIFE(즉시실행함수) 의미 #실습준비, 즉시실행함수를 쓰는 목적설명 #이럴 때 즉시실행함수 사용법 첫번째 #즉시실행함수와 세미콜론 #즉시실행함수 사용법 두번째 #IIFE(즉시실행함수) 의미 말 그대로 어떤 특정한 함수를 즉시 실행 해 버릴 수가 있겠구요. Immediately-Invoked Function Expression #실습준비, 즉시실행함수를 쓰는 목적설명 a라는 변수가 선언이 되었고요, 숫자 7을 할당해서 담았습니다. 그리고 double()이라는 함수를 만들어서 그 내부에서 console.log로 a * 2를 출력합니다. 그 함수 자체를 아래쪽에서 이렇게 double()이라는 이름으로 실행해서 로직이 구성되었습니다. const a = 7 function double() { cons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