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2023/11/29 2

Ch 2. JS 시작하기-07.조건문 Switch

#조건문 Switch switch (a) { case 0: console.log('a is 0') break case 2: console.log('a is 2') break case 4: console.log('a is 4') break default: console.log('rest...') } switch문에는 a라는 변수만 집어 넣어줍니다. 그 a라는 변수가 상황에 따라서 어떠한 값인지를 우리는 case라는 키워드를 통해서 명시 할 수 있어요, case 0: (a라는 조건이 숫자데이터 0인 경우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있고요.) console.log('a is 0') (a가 0인 경우에 'a is 0'를 출력하고요.) 그리고 하나의 케이스의 내용이 끝나면 그것이 끝났다는 표시로 break 키워..

Ch 2. JS 시작하기-06.조건문 IF Else

#실습준비 *getRandom.js 파일을 새로 만듭니다. 코딩을 합니다. export default function random() { return }; #Math.floor(Math.random() * 10) ( return할 값은 개발자도구의 콘솔창에서 직접적으로 코딩을 해 볼게요. ) #Math.random() 대문자로 시작하는Math라는 수학객체가 하나 있습니다. 메소드로 random()을 실행해줄 수 있습니다. 여기다가 곱하기 10을 하면 Math.random() * 10 정수부분에도 숫자가 잘 나오게 되는데요. #소수점 부분 숫자는 버려주는 Math.floor(Math.random() * 10) Math 객체의 내림처리를 해주는 메소드 floor 를 사용합니다. #.getRandom.js파일..

반응형